본문 바로가기
노동법률자문

연차 발생 기준, 연차 계산 방법

by 윤혜림 노무사 2025. 3. 1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윤혜림 노무사입니다.


오늘은 연차 발생 기준 및 연차 계산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라면 소중한 연차, 연차는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차 발생 요건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르면 연차유급휴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한 사업장에서 오래 근무할수록 유급휴가도 늘어나게 됩니다. 과거에 유급휴가 일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으나 현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유급휴가의 최대 일수는 25일입니다.

 

 

 

2. 연차 계산 방법

 

(1) 회계일 기준 계산 방법

회사의 회계 기준일(매년 1월 1일)로 계산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판례, 노동부 행정해석에 따라 산정할 수 있습니다.

 

 

(2) 입사일 기준 계산 방법
근로자의 입사일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근로기준법에 따른 원칙적인 방식에 해당합니다.

 

2023년 9월 23일에 입사한 근로자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2년 차에 발생하는 연차 일수를 확인해 보세요.


 

3.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사용 연차수당으로 지급함이 원칙입니다.

 

미사용 연차가 발생하였다면 미사용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미사용 연차수당 산정 방법 : 통상시급 x 8시간 x 일수

 

미사용 연차수당 발생시점은 회계일 기준 / 입사일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됩니다. 아래의 표를 확인하세요.

 

 

 


 

 

오늘의 포스팅과 관련하여 문의사항 있으시다면 (1) 윤혜림 노무사 엑스퍼트, (2) 유료 전화 상담으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1) 윤혜림 노무사 엑스퍼트

 

노무사 윤혜림 노무사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안녕하세요. 윤혜림 노무사입니다.

m.expert.naver.com

 

 

합리적인 비용 내에서 명확하고 친절하게 설명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2) 010-5954-8485 유료 상담

전화 주시면 상담 비용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료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노사가 모두 찾는 노무사

윤혜림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