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연차 이월할 수 있을까? 연차 이월 방법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윤혜림 노무사입니다.오늘은 연차를 이월할 수 있는지, 이월한다면 어떻게 이월하는지, 연차 이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차 관리 방법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르면 연차는 1년을 기준으로 발생합니다.연차는 입사일 또는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할 수 있습니다.연차는 1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되기 때문에 해당연도에 발생한 연차를 전부 사용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연차 사용 촉진을 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1조에서는 연차 사용 촉진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1조 제1항에 따르면 연차 사용 촉진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차를 사용하지 않아 연차가 소멸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보상할 의무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2025. 4. 11.
IRP 계좌 개설의무, 퇴직급여는 IRP 계좌에 반드시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윤혜림 노무사입니다.오늘은 퇴직급여를 받기 위해서 IRP 계좌 개설은 의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퇴직급여, 급여 계좌 vs IRP 계좌?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 후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는데요. 퇴직금 또는 퇴직연금(DB or DC) 중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퇴직급여는 어떻게 지급하면 될까요? 일반적으로 매달 지급받는 급여 계좌에 퇴직급여를 입금해도 괜찮을까요?정답은 "IRP 계좌에 입금" 해야 합니다.2022년 4월부터 회사가 퇴직급여 지급 시, 의무적으로 퇴직연금 계좌인 IRP 계좌로 입금해야 합니다.그렇다면 IRP 계좌란 무엇일까요?  2. IRP 계좌란? IRP란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 2025. 4. 10.
사내근로복지기금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윤혜림 노무사입니다.오늘은 사내근로복지기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내근로복지기금이란? 사내근로복지기금이란 사업주로 하여금 사업 이익의 일부를 재원으로 사내근로복지기금을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용하게 함으로써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 내 복지제도를 의미합니다.* 근로복지기본법 제50조(사내근로복지기금)   2. 사내근로복지기금 관련 법령 (1) 사내근로복지기금법기업 내 후생복리제도인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관련하여 사내근로복지기금법이 있으나 이는 연혁법령에서 확인할 수 있고 (2) 근로복지기본법현재는 근로복지기본법에서 사내근로복지기금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사내근로복지기금은 법인이다.근로복지기본법은 근로복지정책.. 2025. 4. 9.
외국인 근로자의 4대보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윤혜림 노무사입니다.외국인 근로자의 4대보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내국인과 동등하게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합니다.그러나, 국적 또는 체류 자격에 따라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상호주의나 국적 또는 체류 자격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 대상 여부가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국민연금공단에서 외국인 체류자격별 가입 대상 여부를 구분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당연적용 제외되는 체류 자격은 총 16개로 다음과 같습니다.A-1(외교)A-2(공무)A-3(협정)B-1(사증면제)B-2(관광통과)C-1(일시취재)C-3(단기방문)C-4(단기취업)D-1(문화예술)D-2(유학)D-3(기술연수)D-4(일반연수)D-6(종교)F-1(방문동거)F.. 2025. 4. 8.